리눅스 디렉토리 파일 구조
리눅스 디렉토리 파일 구조는 계층적이며 특정한 목적을 가진 디렉토리들의 집합이다.
각 디렉토리는 파일 및 다른 디렉토리를 포함할 수 있고, 시스템에서 필요한 정보와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.
- / (루트 디렉터리)
- 리눅스 파일 최상위 디렉토리이다.
- 모든 다른 디렉토리와 파일의 시작점. - /bin (바이너리)
- 기본적인 명령어를 담고 있는 디렉토리이다. ( cd, mv, cp, ... )
- 리눅스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기본 명령어들이 여기 위치한다. - /etc (설정)
- 시스템의 전반적인 환경 설정 파일들이 위치한다.
- 네트워크 설정 파일, 소프트웨어 설정 파일, 사용자 계정 파일, 파일 시스템 정보 등의 파일이 포함된다.
- 따라서, 시스템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거나, 시스템 전체 환경을 바꾸기 위해서는 /etc 디렉토리 내에 포함된 파일들에 대해 알아야한다.
- /etc/sysconfig/network : 리눅스 서버의 hostname 변경,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설정파일 .
- /etc/resolv.conf : 시스템의 DNS 설정을 포함. DNS 서버 주소 및 도메인 검색에 관련된 정보.
- /etc/hosts: 호스트명과 IP 주소간의 매핑 정보를 제공.
- /etc/group: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.
- /etc/passwd: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. 각 사용자의 계정 이름, 사용자 ID, 홈 디렉토리 경로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.
- /etc/ssh/sshd_config : SSH 서버의 설정파일, SSH 접속 관련 설정을 수정할 수 있다.
- /home (홈)
-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(사용자 계정명과 동일)가 만들어지는 디렉토리.
- 사용자는 /home 안에 자신의 디렉토리를 갖는다. - /lib (라이브러리)
- 시스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위치한다.
- 실행 파일들이 필요로하는 라이브러리는 여기에 설치된다.
- 시스템 부팅과 /bin과 /sbin 디렉토리에 있는 바이너리 파일들을 실행해주는 공유 라이브러리를 보유하고 있다. - /usr (유저)
- 사용자가 설치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디렉토리이다.
-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들은 여기에 설치된다.
- 하위에는 /bin, /sbin, /local 등이 있다. - /var (변수)
- 로깅, 사용자 추적, 캐시 등의 시스템 운영 중에 발생한 가변 데이터가 저장되는 디렉토리이다.
- /var/log : 다양한 프로그램들의 로그 파일.
- /var/local : /usr/local 아래에 설치된 프로그램들의 데이터 보관.
- /var/log/wtmp : 시스템의 모든 로그린,로그아웃 정보 기록.
- /var/tmp : /tmp에 있는 임시파일들 보다는 좀 더 오래 유지될 필요가 있는 임시 파일들, 부팅 시 지워지지 않는다.
- /tmp (임시)
- 임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이다.
- 시스템이 다시 시작되면 /tmp 디렉토리의 포함 항목이 삭제된다.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Crontab 사용법 익히기 + Tip ( etc/crontab, crontab -e ) (2) | 2024.01.24 |
---|---|
리눅스 repository 알아보기, yum과 dnf 명령어 (0) | 2023.12.05 |
리눅스 쉘(Shell) 개념. (1) | 2023.11.30 |